달러 대량 유입…환율에 부담 _돈 버는 중국 앱_krvip

달러 대량 유입…환율에 부담 _체로키 키 슬롯 수리_krvip

공기업이 해외에서 채권 발행으로 빚을 내 들여온 자금이 100억 달러를 돌파하는 등 외화 유입량이 늘어나고 있다. 외채가 빠르게 늘어나면 상환부담이 커지는데다 환율 하락을 초래해 수출에 악영향을 주게 된다. 이에 따라 당국이 외화수급을 적극적으로 조절할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되고 있다. 아울러 공기업의 해외 채권 발행 시기를 분산시켜 조달 금리를 낮춰야 한다는 주장도 있다. ◇달러, 국내로 국내로 우리나라로 외화가 유입되는 경로는 수입보다 수출이 많아 발생하는 경상수지 흑자, 외국인 주식투자, 그리고 국내 기관들이 해외에서 발행하는 채권 등이다. 올해 6월말 현재 경상수지 흑자로 유입된 외화는 사상 최대인 217억5천만 달러다. 국내 주식시장이 활황을 보이면서 외국인 주식투자 자금도 2분기에 사상 최대인 83억8천만 달러가 유입돼 올 들어 총 유입 금액이 96억3천만 달러에 달했다. 여기에 공기업이 해외에서 채권을 발행해 들여오는 외화도 크게 늘었다. 6월말 현재 공기업의 순대외채무 잔액이 100억 달러를 돌파했다. 이 역시 사상 최대치다. 국내 외화 유입은 앞으로도 계속 늘어날 전망이다. 무엇보다 공기업의 해외 채권 발행이 앞으로도 꾸준히 이어질 예정이기 때문이다. 9~10월을 중심으로 하반기에 상당수 공기업의 발행 계획이 잡혀 있다. 올해 경상수지 흑자는 300억 달러 안팎에 이를 것이라는 전망이 대세다. 채권발행 외에 80억 달러 이상의 외화가 추가 유입된다는 뜻이다. 한은 관계자는 "하반기에도 달러가 대거 유입되면서 원ㆍ달러 하락 압력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급속한 달러 유입, 수출에 악영향 대규모 달러 유입은 환율 하락을 가져오면서 수출에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ㆍ달러 환율은 지난달 중순 1,310원대로 올랐지만 이후 하락세를 보이면서 이달 초에는 1,210원대로 밀리기도 했다. 최근 환율 하락에는 수출 증가와 함께 공기업 해외 채권 발행이 한 몫을 담당한 것으로 관측된다. 6~7월 공기업의 해외 채권 발행 규모는 월평균 16억9천500만달러로 올해 들어 5월까지 5개월간 평균 발행액 1억3천200만달러의 12.8배에 달했다. 1,200원대 환율이 지속되면서 수출 호조세가 꺾이는 분위기가 감지되고 있다. 관세청에 따르면 이달 들어 20일까지 무역수지는 21억2천500만달러 적자를 기록하면서 6개월째 이어진 흑자 행진을 멈출 기미를 보이고 있다. 지난달 327억3천만 달러에 달했던 수출은 이달 1~20일 동안에는 절반 수준인 162억1천400만달러에 불과했다. 채권 발행이 몰리면 외화 자금을 조달하는 비용이 비싸진다는 문제점도 있다. 삼성경제연구소 정영식 수석연구원은 "외국환평형기금채권(외평채)의 신용부도스와프(CDS) 프리미엄이 리먼 사태 이전 수준으로 떨어졌지만 해외 채권 발행에 적용되는 가산금리의 하락폭이 크지 않은 것은 채권 발행이 한꺼번에 이뤄졌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당국, 외화수급 조절할 듯 이에 따라 당국이 적극적으로 외화 수급 조절에 나설 수밖에 없는 상황이 만들어졌다는 관측이 제기된다. 우리나라의 외화자금 사정이 많이 좋아져 이제는 외화가 과도하게 유입되는 것을 방지해야 하는 상황이라는 것이다. 최근 금융감독원은 "일부 은행의 경우 외화 사정이 좋아져 이를 원화로 바꿔 운용하고 있다"며 고금리ㆍ단기 외채 상환을 주문한 바 있다. 외평채 역시 하반기에는 30억 달러 규모를 발행할 수 있지만 정부가 실제로 발행하지는 않을 것이라는 전망도 있다. 이에 대해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추가 발행 여부는 아직 결정하지 않았다"고 말했지만, 한 외환시장 참가자는 "외평채가 다른 채권의 준거금리 역할을 한다는 점을 고려할 때 현재로서는 추가 발행할 요인이 별로 없다"고 말했다. 아울러 공기업의 해외 채권 발행 시기를 정부가 나서서 조율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있다. 국제금융센터 김동완 상황정보실장은 "공기업이 해외에서 채권 발행으로 달러를 차입하면 환율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다"며 "자금 조달 금리가 높아지는 문제점도 있는 만큼 정부가 나서든지 공기업들이 자율적으로 발행 시기를 분산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